과정 소개 |
자격증 대비 최신 과정 본 과정은 식물보호기사 필기 핵심이 되는 기본 이론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전체적인 골격에 해당하는 학습의 기초를 튼튼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기본 핵심 이론을 실제 문제에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. 또한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이론과 문제만을 학습하여 빠른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게 합니다. |
학습 대상 |
식물보호기사 필기를 취득하려는 근로자 |
학습 목표 |
식물보호기사 필기 시험 과목인 식물병리학, 농림해충학, 재배원론, 농약학, 잡초방제학의 기초 이론 능력을 함양하고 필기를 합격할 수 있다. |
교수 소개 |
* 내용 전문가 정승기 <학력> - 강원대학교 농학과(학사 졸업) <경력> - (주)티에이치서비스 아파트 단지 수목 관리 <자격증> - 농화학기술사 - 나무의사 - 수목보호기술자 - 종자기사 - 식물보호기사 -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(농업 3급) -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(임업 3급) -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(조경 3급) |
학습내용
차시 |
내용 |
1차시 |
식물병리학_식물병의 원인 |
2차시 |
식물병리학_식물병의 진단(1) |
3차시 |
식물병리학_식물병의 진단(2) |
4차시 |
식물병리학_식물병의 발생 |
5차시 |
식물병리학_발병 환경 |
6차시 |
식물병리학_병원성과 저항성 |
7차시 |
식물병리학_식물병의 방제 |
8차시 |
식물병리학_식물병각론_식용작물병 |
9차시 |
식물병리학_식물병각론_맥류 및 기타 작물의 방해 |
10차시 |
식물병리학_식물병각론_서류의 병해 |
11차시 |
식물병리학_식물병각론_원예작물병 |
12차시 |
식물병리학_식물병각론_과수의 병해 |
13차시 |
식물병리학_식물병각론_수목병 |
14차시 |
해충학_곤충의 특성 및 형태 |
15차시 |
해충학_내부 형태 |
16차시 |
해충학_곤충의 분류 |
17차시 |
해충학_곤충의 생태 및 생리 |
18차시 |
해충학_해충의 방제법(1) |
19차시 |
해충학_해충의 방제법(2) |
20차시 |
해충학_해충각론_식용작물의 해충 |
21차시 |
해충학_해충각론_맥류 및 기타 작물의 해충 |
22차시 |
해충학_해충각론_원예작물의 해충 |
23차시 |
해충학_해충각론_과수의 해충 |
24차시 |
해충학_해충각론_수목의 해충 |
25차시 |
농약학_작물보호제의 정의 및 분류 |
26차시 |
농약학_농약의 특성 및 제제 형태 |
27차시 |
농약학_농약제제의 분류 |
28차시 |
농약학_농약의 사용법 및 약해 |
29차시 |
농약학_농약의 약해 |
30차시 |
농약학_농약의 독성 및 잔류성 |
31차시 |
농약학_농약의 이화학적 특성_살충제 |
32차시 |
농약학_농약의 이화학적 특성_살균제 |
33차시 |
농약학_농약의 이화학적 특성_식물생장조정제 |
34차시 |
잡초방제학_잡초의 특성 및 분류 |
35차시 |
잡초방제학_잡초의 생리 및 생태 |
36차시 |
잡초방제학_잡초의 출현 및 정착 |
37차시 |
잡초방제학_잡초의 경합 |
38차시 |
잡초방제학_잡초방제법 |
39차시 |
잡초방제학_제초제_제초제의 분류 |
40차시 |
잡초방제학_제초제의 선택성 및 작용 기작 |
41차시 |
재배학원론_작물의 기원과 분류 |
42차시 |
재배학원론_작물품종의 재배적 특성 |
43차시 |
재배학원론_작물의 육종 |
44차시 |
재배학원론_재배환경(1)_토양 |
45차시 |
재배학원론_재배환경(2)_토양 중의 무기 성분 |
46차시 |
재배학원론_재배환경(3)_토양 유기물 |
47차시 |
재배학원론_재배환경(4)_수분 |
48차시 |
재배학원론_재배환경(5)_공기 |
49차시 |
재배학원론_재배환경(6)_광합성 |
50차시 |
재배학원론_작물의 내적 균형과 식물 호르몬 및 방사선 이용 |
51차시 |
재배학원론_작물의 재배기술 |
52차시 |
재배학원론_정지 파종 및 이식 |
53차시 |
재배학원론_재배관리 |
54차시 |
재배학원론_각종 재해 |
|
평가기준
평가항목 |
진도율 |
시험 |
과제 |
진행단계평가 |
수료기준 |
평가비율 |
- |
90% |
0% |
10% |
- |
수료조건 |
80% 이상 |
0점 이상 |
0점 이상 |
0점 이상 |
60점 이상 |
|